오늘은 보건증을 인터넷으로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인터넷으로 발급받기 전에 해야할 일들이 있는데요.
- 동네 보건소에 가서 몇가지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 갈때는 본인의 신분증과 2천원 정도의 여분을 꼭 들고 가셔야 합니다.
- 검사를 마친후에 보건소 직원에게 가면 5~6일 후에 다시 오라고 합니다.
여기까지 진행을 하셨다면, 직원이 말한 5일 후에는
집에서 인터넷으로 보건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
1. 한국보건복지부 홈페이지 G-health에 접속합니다. (주소 : www. g-health. kr)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보건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접속 후 화면 가운데 보시면 온라인민원 서비스 길라잡이 메뉴얼을 볼 수 있습니다.
제증명 발급받기, 진료예약 하기, 진료내역 조회하기 3가지 중에서
제증명 발급받기를 선택 하시면 됩니다.
2. 제증명 발급받기 메뉴얼로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제증명 발급 신청하기로 들어가 주세요.
3. 1번 2번 방법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작은 창이 뜰겁니다. (아래 그림 참고)
여기서 보건기관, 이름, 주민등록번호를 작성해 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위에 보면 관련된 설명이 두가지 나옵니다. 동의 부분에 체크해 주시면 됩니다.)
3-1. 보건기관 찾기로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옵니다.
보건기관 구분은 전체로 하시면 됩니다.
보건기관명은 예시에 나온대로 자양동보건소 일경우 자양동만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3-2. 보건기관 검색 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발급은 가능하나 재발급은 불가능한 보건기관이 있으니 잘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4. 3번 과정까지 제대로 하셨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화면에 보이실 것입니다.
여기서 하늘색으로 되어있는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으로 들어가 주시면 됩니다.
들어가신 후에 본인의 보건증이 맞나 화인해 보시구 인쇄하시면 됩니다.
별로 어렵지 않죠!?
제가 한국에서 살고 있는 지역의 보건소는 재발급은 안되더라구요.
그러니 보건증 인터넷으로 발급받을 때 한번에 제대로 딱! 발급받으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업무시간, 영업시간 정리 (2) | 2013.12.13 |
---|---|
구글 애드센스 가입시 유의사항 (8) | 2013.12.07 |
티스토리 초대장 10장 배포합니다. (71) | 2013.11.02 |
할로원데이 유래 및 의상,사탕,호박의 의미 (1) | 2013.10.31 |